본문 바로가기
ISSUE & INFOMATION

💼 미국의 상호관세 90일 유예,이후 벌어질 3가지 가능성

by 핑거프린스 2025. 4. 11.
728x90
728x90

✅ 1. '90일 유예'는 말 그대로 기회이자 압박 카드

미국이 무려 75개국 이상에게
“상호관세 유예할게, 대신 협상 테이블로 와라”
라고 한 셈이에요.

여기엔 두 가지 의도가 깔려있어요.

시간을 벌어 협상 주도권 확보
미국이 원하는 조건(예: 알래스카 LNG 투자)을 끌어내기 위함

즉, 이건 단순한 유예가 아니라
협상용 ‘당근’과 동시에 ‘채찍’이에요.

📌 기본관세(10%)와 철강·차량 관세(25%)는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
경제적 압박은 계속되고 있다는 점도 잊으면 안 돼요.


✅ 2. 한국 입장: "쉽지 않은 셈법"

협상보다 중요한 건 전략적 균형

미국과 중국, 모두 우리나라의 1·2위 교역국이에요.
즉, 누구 편도 쉽게 들 수 없는 상황이라는 거죠.

💡 트럼프는 한국에
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와 구매를 요청했어요.
그 자체가 무역 조건으로서 교환될 수 있다는 뜻이에요.

이 말은 곧,
한국이 대미 협상 카드로 에너지 분야를 선택할 수도 있다는 의미.

그러나 동시에
✔ 중국의 보복 가능성
✔ 내부 리더십 공백
✔ 세계 공급망 위축
이런 복합적인 리스크가 도사리고 있어요.


✅ 3. 앞으로 90일, 세계경제는 어떻게 움직일까?

아직 확실한 건 없지만,
예측 가능한 흐름은 있어요.

📊 시나리오 A: 유예 기간 내 ‘맞춤형 협상’이 성공
→ 각국은 관세 완화를 얻고,
→ 미국은 에너지·기술 분야에서 실익 확보
글로벌 교역 회복 가능성 O

 

📊 시나리오 B: 협상 실패 or 일부 국가만 타결
→ 트럼프는 유예 종료 후 전면 관세 재개
무역 긴장 재점화, 경기 둔화 압박

 

📊 시나리오 C: 중국과의 2차 무역 전쟁 격화
→ 중국의 보복 + 미국의 재보복
→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 확대,
특히 수출 의존국인 한국에 타격 클 가능성

 

✅ 4. 상호관세 유예, 주가에는 어떤 영향을 줄까요?

이번 90일 유예 조치는
투자자 심리에 단기적인 '완충재' 역할을 할 수 있어요.

📌 긍정적 기대 요인

  • 협상에 대한 기대감
  • 에너지·기술 분야 교류 가능성
  • “최악은 피했다”는 안도감

→ 이로 인해 단기적으로 주식시장 반등 가능성도 있어요.
특히 무역 민감 업종(반도체, 자동차, 조선 등)은
호재로 작용할 수 있죠.

 

📌 그러나 주의할 점

  • 협상 지연 or 결렬 시
    → 유예가 끝나는 순간, 다시 긴장감 급등
    → 관세 재개되면 수출주 중심 하락 압력 커질 수 있어요
  • 미·중 무역갈등 격화 시
    위안화 절하 → 원화 약세 → 외국인 이탈
    → 증시 변동성 더 커질 수 있어요

💬 요약하면,
단기적으로는 긍정적 흐름이 가능하지만
중기적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거예요.

 


🧭 마무리 정리

미국의 상호관세 유예는 단순한 '선의'가 아닙니다.
정치적·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고도의 협상 전략이죠.

이제 전 세계는 90일이라는 시간 안에
자국의 실익을 챙기기 위한 계산기를 두드려야 하는 시점이에요.

한국 역시 '전략적 모호성'을 유지하면서도
빠르고 유연한 대응 전략을 갖춰야 해요.

728x90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