✅ 1. '90일 유예'는 말 그대로 기회이자 압박 카드
미국이 무려 75개국 이상에게
“상호관세 유예할게, 대신 협상 테이블로 와라”
라고 한 셈이에요.
여기엔 두 가지 의도가 깔려있어요.
✔ 시간을 벌어 협상 주도권 확보
✔ 미국이 원하는 조건(예: 알래스카 LNG 투자)을 끌어내기 위함
즉, 이건 단순한 유예가 아니라
협상용 ‘당근’과 동시에 ‘채찍’이에요.
📌 기본관세(10%)와 철강·차량 관세(25%)는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
경제적 압박은 계속되고 있다는 점도 잊으면 안 돼요.
✅ 2. 한국 입장: "쉽지 않은 셈법"
협상보다 중요한 건 전략적 균형
미국과 중국, 모두 우리나라의 1·2위 교역국이에요.
즉, 누구 편도 쉽게 들 수 없는 상황이라는 거죠.
💡 트럼프는 한국에
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와 구매를 요청했어요.
그 자체가 무역 조건으로서 교환될 수 있다는 뜻이에요.
이 말은 곧,
한국이 대미 협상 카드로 에너지 분야를 선택할 수도 있다는 의미.
그러나 동시에
✔ 중국의 보복 가능성
✔ 내부 리더십 공백
✔ 세계 공급망 위축
이런 복합적인 리스크가 도사리고 있어요.
✅ 3. 앞으로 90일, 세계경제는 어떻게 움직일까?
아직 확실한 건 없지만,
예측 가능한 흐름은 있어요.
📊 시나리오 A: 유예 기간 내 ‘맞춤형 협상’이 성공
→ 각국은 관세 완화를 얻고,
→ 미국은 에너지·기술 분야에서 실익 확보
→ 글로벌 교역 회복 가능성 O
📊 시나리오 B: 협상 실패 or 일부 국가만 타결
→ 트럼프는 유예 종료 후 전면 관세 재개
→ 무역 긴장 재점화, 경기 둔화 압박
📊 시나리오 C: 중국과의 2차 무역 전쟁 격화
→ 중국의 보복 + 미국의 재보복
→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 확대,
특히 수출 의존국인 한국에 타격 클 가능성
✅ 4. 상호관세 유예, 주가에는 어떤 영향을 줄까요?
이번 90일 유예 조치는
투자자 심리에 단기적인 '완충재' 역할을 할 수 있어요.
📌 긍정적 기대 요인
- 협상에 대한 기대감
- 에너지·기술 분야 교류 가능성
- “최악은 피했다”는 안도감
→ 이로 인해 단기적으로 주식시장 반등 가능성도 있어요.
특히 무역 민감 업종(반도체, 자동차, 조선 등)은
호재로 작용할 수 있죠.
📌 그러나 주의할 점
- 협상 지연 or 결렬 시
→ 유예가 끝나는 순간, 다시 긴장감 급등
→ 관세 재개되면 수출주 중심 하락 압력 커질 수 있어요 - 미·중 무역갈등 격화 시
→ 위안화 절하 → 원화 약세 → 외국인 이탈
→ 증시 변동성 더 커질 수 있어요
💬 요약하면,
단기적으로는 긍정적 흐름이 가능하지만
중기적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거예요.
🧭 마무리 정리
미국의 상호관세 유예는 단순한 '선의'가 아닙니다.
→ 정치적·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고도의 협상 전략이죠.
이제 전 세계는 90일이라는 시간 안에
자국의 실익을 챙기기 위한 계산기를 두드려야 하는 시점이에요.
한국 역시 '전략적 모호성'을 유지하면서도
빠르고 유연한 대응 전략을 갖춰야 해요.
'ISSUE & INFO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🌏 왜 미·중은 서로 싸우고 있을까?? (2) | 2025.04.14 |
---|---|
📱 알뜰폰 요금제가 저렴한 이유! (0) | 2025.04.12 |
글루텐 알레르기? 셀리악병? 밀가루 알레르기? (3) | 2025.04.10 |
🔍 관세전쟁 이후, 환율은 어디까지 오를까? (5) | 2025.04.09 |
미국과 중국의 관세 정책이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(1) | 2025.04.08 |